반응형

재테크기본기 5

당신이 잘못 알고 있는 재테크 상식 6가지(1)

재테크에서 잘못된 상식은 독과 같다. 누구에게나 언제 어떤 상황에서든 모두 적용되는 진리나 법칙은 재테크에 결코 없다. 그런데도 상식이라는 허울을 쓰고 모든 경우를 일반화하는 잘못된 상식이 너무 많다. 이런 잘못된 상식만 잘 피해도 재테크에서 황당한 실패를 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1. 주식에 장기 투자하면 반드시 오른다? 앞서 코스피 주요 종목 10개의 10년 장기투자 결과를 살펴보았다. 의외로 오른 종목은 4개뿐이고 6개가 하락했다. 하지만 10년이란 세월동안 화폐가치가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삼성전자와 네이버를 제외하면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한 것과 다름없다. 시가총액 순으로 상위 100개를 살펴봐도 하락한 주식이 더 많다. 그래서 주식..

내 집 마련은 의지의 문제다

직장인들에게 내 집 마련이란 일생일대의 중요한 목표다. 내 집 마련이 단순히 주거를 해결하는 문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얼마나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꾸준히 그 목표를 추진하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물론 돈이 가장 큰 문제인 건 맞다. 하지만 이것도 의지를 가진 사람에게는 큰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필자는 의지를 가진 사람에게는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방법이 생긴다는 사실을 여러 번 목격했다. 장애물이란 뚜렷한 목표를 가진 사람에게는 의지를 더욱 강하게 하는 통과의례에 지나지 않지만, 목표와 의지가 없다면 낮은 장애물도 매우 높은 진입장벽으로 여겨질 것이다. 세상에 어떤 성취를 이루는데 아무런 장애물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겠는가? "만일 당신 앞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다면 그 길은 당신이 ..

아파트가 든든할 수밖에 없는 3가지 이유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아니, 이게 무슨 말인가? 공급이 늘면 가격은 하락하고 반대로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은 상승하는게 상식 아닌가? 하지만 주택시장에서는 이런 상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택시장이 지닌 독특한 특징 때문이다. 1. 첫 번째 특징 : 주택의 가격 하방 경직성 주택에는 가격 하방 경직성(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내려가야 할 가격이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내려가지 않는 현상)이 있다. 만일 아파트가 단순한 투자대상이라면 시장에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줄만한 악재가 등장했을 때 손해를 무릅쓰고 아파트를 팔려는 사람이 늘어나서 가격이 하락할 것이다. 하지만 아파트는 투자대상이기 이전에(1주택자의 경우에는) 현재 자신이 거주하는 주거공간 그 자체다. 살고 있는..

자산이란 과연 무엇인가

경제학적 관점에서 자산이란 용어는 다음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가치있는 것 2.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거래가 가능한 것 자산이란 현금 흐름, 즉 일정한 소득 또는 수익이 계속 발생하는 동시에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거래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자산에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예금, 주식, 채권, 주택, 상가, 토지, 임야 등이 있다. 누구나 이런 자산을 충분히 많이 가지고 있다면 노동소득 없이도 생활할 수 있다. 만일 당신이 그런 사람이라면 월요일 아침 회사에 출근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러나 자산이 충분하지 않다면 일터로 출근해야만 한다. 재산상의 가치가 있다고 하더라도 엄밀한 기준으로 보면 자산이 아닌 것도 있다. 자동차, 비상장 주식, 임야, 암호화폐..

재테크란 과연 무엇인가

재테크財tech란 말 그대로 '돈 버는 기술'을 뜻하는 말로 21세기 들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다. 富를 만드는 원천인 토지, 자본, 노동 중 주로 토지나 자본을 늘리는 기술을 재테크라 부른다. 과거에 부를 저장하는 수단은 화폐와 실물 자산뿐이었는데 인터넷이란 혁명적 도구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수단과 거래 방법이 나타났다. 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정보의 차단벽이 완전히 해제됨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재테크 기술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재테크를 시작하기 전 최소한 몇 가지는 알고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허상을 좇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1. 재테크는 상대가치다 2017년 서울 중위 가격 아파트는 6억 원 정도였으나 그로부터 5년이 지난 2021년 말에는 무려 12억 원으로..

반응형